일상 6

후배에게 해주고 싶은 말

1. 적극적으로 행동하자내가 공부를 할려면 내가 언제든지 할 수 있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인적 자원이라고 생각한다. 우물쭈물거리면서 간을 보는 것 같은 행동은 상대방에게 신뢰를 주기 힘들고 막상 도움이 필요했을 때 도움을 받고자 한다면 상대방은 지금 당장 나의 도움이 필요해서 연락하는 것이다 라고 생각하기 쉬운 것 같다.2. 잘난척 하지 말자내가 관심있고 공부하고 있는 분야에 대해서 상대방이 모른다고 하였을 때 많은 사람들이 무시하고 하찮게 생각하는 것 같다. 내가 관심있고 좋아하는 분야가 있는 것 처럼 상대방도나와 다른 분야에 대해 탐구하고 있는 것이다. 상대방을 무시하면 그것이 선생과 제자이든 선배와 후배이든 멘토와 멘티이든 결국 반대인 상황도 오는 것 같다. 똑같은 말로 모르는 것을 숨기고 아..

일상 2025.05.11

HSpace 동아리 개설

화이트햇 스툴 3기 교육생들과 약속이 있어 만나게 되었다. 그 중 한명이 HSpace 얘기를 하여 동아리를 만들려고 하는데 동아리 운영직을 맡아달라는 내용이다.동아리 취지는 보안 공부를 하고 싶은 대학생 모아서 동아리 운영하는 것인데 배재대학교에서 동아리를 운영해본 경험을 토대로 다시 한번 해볼까 하는 고민이 있다.초기라 운영위원 및 회원(대학생)들을 모집하고 있고 추후에는 성인이나 회사 직장인 그리고 지금 당장은 수도권 위주이지만 전국으로 만들 계획이라고 한다. 고등학생도 추후 계획에 있다고 한다.내가 학교에 있을 때에는 이것저것 제약이 많고 학교 이슈로 인해 잘 굴러가지 않았다.이번 기회에 올바른 동아리를 만들어가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일상 2025.05.03

BoB 13기 보안제품개발트랙 합격 후기

면접할 때 면접관분들 중 한분이 내가 발표한 것을 듣고 고지식해서 다른사람 말 안들을꺼같다라고 하셔서 떨어졌다고 생각했고 당시 나름 BoB 프로그램에서 다양한 지식을 통해 시야 범위를 늘려가겠다고 답을 했다. 화이트햇 스쿨 2기생에서 BoB를 많이 지원했는데 많이 붙었다. 만약 BoB를 하고 싶다고 한다면 화이트햇을 먼저 하는 것도 좋을꺼같다. 새벽까지 공부하고 시험치고 집에서 자고 있었는데 같이 화이트햇을 하고 있고 프로젝트도 하면서 외주도 받고 이번 BoB도 같이 지원한 동생이 전화와서 소리지르면서 같이 합격했다고 좋아해줬다. 그리고 1시간동안 교수님, 가족, 누나, 멘토, 친구들, 화이트햇 동기들한테 연락와서 축하한다고 연락을 많이 받았다. 지금까지 이렇게 많이 연락을 한 적이 없었던 것 같다. 화..

일상 2024.06.19

KITRI 화이트햇 스쿨 1기 2기, BoB 13기

화이트햇 스쿨, BoB 준비 전 필독세대 보안 리더 양성 프로그램 Best of the Best(BoB) 화이트햇 스쿨 WhiteHatSchool(WHS) 프로그램 한국정보기술연구원(KITRI) 교육 프로그램 WHS, BoB를 준비하고 있다면 읽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보안에 조금이라도 흥미를 가지고 있다면 무조건 하는 것이 좋다. 서론필자는 BoB 수료생, 선린고, 디미고 학생들과 외주를 하기에 해당 프로그램의 존재여부는 어느 정도 알고 있었다. 다만 필자는 BoB 교육 프로그램에 집중하고자 대학교 졸업 후 지원하고자 하였다. 당시는 화이트햇 스쿨 교육 프로그램이 없었고 BoB 프로그램은 올인하지 않는 이상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필자는 대학교 재학 중이며 대학원 진학을 위한 준비를 하..

일상 2024.06.16

IT 배우고 싶어하는 사람들에게 하고 싶은 말

많은 사람들이 IT에 대해 관심이 늘어난 것은 내가 상상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IT에 흥미를 느껴서 시작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급여가 높다고 하여 시작할려는 사람들은 한계가 분명하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IT에 재능이 있는 사람들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대해 흥미를 느끼고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여러 방면으로 시도해보고 문제 해결 시 도파민을 생성하는 자라고 생각합니다.이러한 사람들과 경쟁하는데 재미도 못느끼고 평생 새로운 지식을 학습하면서 지낼 수 있는지 한번 더 고민해보시길 바랍니다.정말로 해보고 싶다고 한다면 저의 주관적인 아래 기준에 따라 시도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처음에는 자료구조와 컴퓨터구조 네트워크에 대한 기본 이론에 대해 학습을 권장합니다...

일상 2024.06.07